Naver Boostcamp AI Tech 7기 Week 3 회고록

Naver Boostcamp AI Tech 7기 Week3 회고록

2024-08-20 회고

Transformer 논문을 리뷰 완료

이전에 프로젝트들을 하면서 대부분 다 Monitoring System 위주로 만들어서 Model 결과를 시각화하는 것으로 만들었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결과에 따른 chart 유형에 대해서 잘 몰랐고.. 색도 그만큼 중요하다라는 것을 잘 몰랐다. (그래서 예전에 아무런 색으로 했더니 가시화가 그렇게 잘안된거였다..)

이전에 했던 프로젝트들 (토이플젝 포함)

  1. 서울 지역별 따릉이 보유 현황(지도맵 활용)
  2. 전력 데이터 실제 사용량 예측량 비교
  3. Pose Skeleton 각도 변화량에 따른 경고
  4. (학교 과제) 포켓몬.. 능력치..?ㅋㅋ
  5. Attention Score에 따른 ECG 구간 highlighting

그리고 하면서 느낀거지만… 시각화 코드를 만들어 내는 것도 어렵다.

예를 들어 4번 Attention Score를 가장 Score가 높은 지점에만 Highlighting 하고 싶었는데, Transpose하고.. interpolation도 하고… 하다보니 쉽지않았다.

이 기회에 어떻게 개선해야될지 간략하게나마 정리해보면 좋을 것 같다.

2024-08-21 회고

오늘 두런두런 시간을 가졌다.

변성윤마스터님의 인생이야기와 앞으로 어떤 마음가짐을 가지면 좋을지.. 그런 것들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았다.

거기서 가장 와닿은 말은 “익숙치 않은 것들을 의도적으로 ‘도전’” 하는 것

일단 한번 해보자!! 근데 이걸 어떻게하면 잘하지? 이것을 자꾸 생각해내야한다.

그렇다고 이걸 한번에 잘할려는 생각은 하면 안된다.. 고 말씀하셨다.

맞다.. 나는 어찌보면 한번에 모든걸 완벽하게 끝내고싶어하는 경향이 좀 있는 것 같다.

그리고 하고싶은게 너무 많다.

하지만 모두에게 공평하게 시간을 갖고 있고.. 모든걸 다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잘 봐야한다

지금 하고 싶은 것들과 해야할 것들을 분리해서 적어본다.

(현재 붓캠 기간에서를 이야기한다)

해야만 하는 것들

  • 강의 잘 듣고 잘 따라가기
  • 알고리즘 (취업용)
  • 프로젝트를 이끌거나 핵심이 되는 코어 코딩을 할 수 있는 사람 되기
  • 영어 성적 챙기기
  • 포트폴리오 완성하기

하고 싶은 것들

  • MLOps 공부
  • 논문 공부, 구현 공부
  • 캐글, DACON과 같은 대회 참가

로 나눌 수 있는 것 같다.

어찌보면 하고 싶은 것들은 대부분 추가 공부하는 느낌인데, 이게 시간 분배를 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분명 프로젝트가 시작되거나 본격적으로 시작된다면 아마도 많이 주춤거리면서도 또 포기하게 될 것들도 늘어날 것이다. (끈기의 이야기가 아니다)

결국 이 긴 Boostcamp의 일정의 목표는 “취업”이니까, 잘 생각해보자

그리고 나 자신을 되돌아보는 시간들은 항상 갖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자.

변성윤님의 회고록 작성법을 토대로 KPT기반 회고를 작성할 수 있도록

추가로 인생을 게임처럼 살아보기도 참고해보자.

..그리고 기록하는 습관을 갖자!!!!

2024-08-23 회고

항상 시각화의 의미를 생각해야한다.

시각화의 목적의 주체는 “사용자“임을 잊지 않고 만들어야한다.

“사용자”는 여러가지가 될 수 있다.

  • 고객 (Client)
  • 임원진에게 발표..

와 같이 꼭 주체가 특정되지는 않는다.

협업, 소통하고자하는 사람에게 명확히 의사전달을 하기위한 도구라고 보면된다.

추가적으로 Tableau에 대해서 공부해야할 것 같다. 가볍게나마

2024-08-25 회고

MLOps 스터디 1일차

생각보다 공부해야되는 범위가 넓고 Tool도 많았다.

우선 나는 개념에 대해서 공부해갔고, 다른 분들은 이 스터디를 앞으로 어떻게 해야할지에 대해 알아오신 케이스

그래서, 우선은 MLOps for MLE Tutorial을 우선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플로우 자체를 학습하고, 그리고 제대로 사이드 프로젝트를 시작해도 늦지 않을 것 같다고 판단

또한 본래 우리의 Boost Course가 우선이기에 그거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부하기로 결정

공부, 구축 내용 자체는 블로그에 작성될 예정

그리고 이제부터 제대로 NLP에 대해서 시작이다. 또한 위에서 언급했듯이 앞으로 회고록은 KPT하에 작성할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