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Boostcamp AI Tech 7기 Week 4 회고록
Naver Boostcamp AI Tech 7기 Week 4 회고록
일단… 일주일간 쓰던 회고록이 단 한번의 클릭으로 날아가버린 상태로….
이번주 전체 회고를 작성해보려고한다….. (ㅏㅏㅏ!!!!!)
로그를 뜯어보니… 파일이 갑자기… 날라갔다…^^;;;;;;;;;
날라간건.. 날라간거고 어쩔 수 없다..
근데!!! AutoSave가 되어 있었다… 세상에 Typora님 감사합니다…… 덕분에 회고록은 그대로 제출 할 수 있게 되었다…ㅎ
2024-08-26 회고
이번 주 부터는 KPT 기반으로 회고를 진행
K : Keep Going
P : Problem
T : Try
K, P 기반으로 T 작성
K
우선 4주째 같은 시간 (08:30)에 기상하고 씻고 커피사러나갔다오고를 지키고있다. 뭔가 약소하지만 이러한 꾸준함은 계속 이어가자!
- 과제를 밀리지 않고 하고 있다. (안되면 밤늦게까지라도) 무조건 기간내에 끝내자
- 현재까지는 어느정도 다 이해했다!!!
P
- 주말에 쉬는 것도 좋지만, 기획했던 공부는 끝마치자
- 강의 들으면서 집중을 잘 못하고있다. 공부할땐 공부만 하자
- 뭔가 원리에 대해 깊게 파고드는 것을 어려워한다. GPT든 뭐든 간에 궁금한게 생기면 적어뒀다가 공부하자
T
- NLP 이론의 경우 조금 더 깊게 파고들자
- Embedding Vector가 뭘 의미하는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그걸가지고 어떻게 학습이 되는지
- MLOps 공부로, Docker 설치하고 튜토리얼 시작하기
- 선형대수에 대해서 확실하게 공부하기
2024-08-27(~28) 회고
egoing (생활코딩)님의 Github 강의를 이틀에 걸쳐 수강했다.
예전부터 Github을 많이 써왔던터라 강의를 따라가는데에는 크게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건 경험으로 체득한거였지, 사실상 어떤 기능을 갖고 어떨때에 사용하는지에 대해 확실하게 모르는 명령어도 있었다.
그리고 아무래도 대부분 Pull Request 프로젝트로 이루어져있어서, 졸프할때 했던 경험을 되살릴 수 있었다.
나머진 직접적으로 체득하는 방법뿐
추후에 Checkout, head, main과 Merge, Rebase에 대해 다시 공부
그리고 Visual Studio Code에서 Sync Change는 pull+Push를 하는 과정을 의미함 (근데 난 여기서 Merge가아닌 Rebase방법으로 기본 설정 되있는듯)
2024-08-29 회고
github 강의 이후 좀 많은 강의에 허덕이는 중이었다…
이제 정말 시작이라는 느낌이 크게 들었다..!
K
- 이해 안되는 부분에 대해서 짚고 넘어가려는 모습이 되었다.
- 정리해두는 습관이 점점 늘어가고 있다.
- 최대한 회고록을 밀리지않게 쓰려고 하고 있다.
P
- 종종 자신과의 싸움에서 지는 중..
- 이전 회고록에서 정리가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 아직까지도 정리 못한 점
- 시간을 잘 못쓰고 있다.
T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공부하기
2024-08-30 회고
오피스아워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부분
안그래도 요즘 GPT를 통해 코드구현에 부족한 부분을 채우고 있는데, 그에 관한 조교님의 답변이 인상 깊었다.
ChatGPT를 쓰면서 얻은 코드들을 정리해두자, 추가로 DL 관련된 코드 관련된 질문을 GPT에게 하고 답변 받으면 Cross Check이 필수!!!
따라서 앞으로 해야할 일들이 늘었다.
- GPT에서 얻었던 코드들과 사용법에 대해 다시 정리해두기 (블로그든 노션이든)
- Cross Check 필수
- 직접 사용해보기 (나만의 것으로 만들기)
그리고 이번에 Word2Vec, Embedding, BPE 등… NLP에 대한 기초적인것을 좀 많이 배웠다.
워낙 기초이기도하고 NLP의 근본이 되는? 그런 지식들이라 이번에 잘 기억해서 다음 강의를 들어봐야겠다는 생각을 가지게되었다.
추가적으로 정리해야될 사항
Word2Vec 구현
언제한번 날잡고 블로그 내용을 정리해야겠다고 생각했다. Archive에 있는 내용도 끌어오고…
게을러지지말자